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한국형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추진 중인 정부가 '특화' AI 모델 개발도 병행한다.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512장을 2개 과제에 지원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과 함께 'AI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5일 공모했다.
기존 독자 AI 사업이 범용모델 개발이 목적이라면, 이 프로젝트는 한국이 강점을 지닌 특정 분야에 최적화한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앞서 정부는 제조업 등 주요 산업군을 AI를 통해 혁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총 2개 과제에는 각각 엔비디아 B200이 256장(32노드)씩 주어진다. 국내 AI 기업·대학·연구기관 등은 단독 혹은 컨소시엄 형태로 다음 달 13일까지 지원하면 된다.
정부는 평가를 거쳐 2개 팀을 선정한다. 선정된 팀은 올해 11월부터 최대 내년 9월 9일까지(5개월 + 5개월) 정부 지원을 받는다.
사업 기간 각 팀은적용 분야, 독자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방법론, 서비스 개수 등을 주도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5개월이 지난 중간 단계평가에서 2단계 GPU 지원 여부가 결정된다.
평가위원의 경우 국내 AI 관련 전문가로 구성됐다. 심사 기준은 △기술력 및 개발경험 △개발 목표 △시장성 및 파급효과 등이다.
이후 참여 팀의 성과는 별도의 위원회를 꾸려 평가할 예정이다. 목표 달성여부, 성과의 혁신성 등을 살핀다.
내년 9월 최종 평가를 거쳐 우수 팀에는 정부 구매분 GPU가 추가로 제공된다. 후속 모델·서비스 개발 지원 등 결과물 확산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한편 사업에 쓰이는 B200은 엘리스그룹에서 공급한다. 컴퓨팅 서비스는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수랭식 모듈형 데이터센터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와 NIPA는 사업 이해도를 높이고자 이달 15일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사업 설명회도 연다. 자세한 공모 내용은 과기정통부 및 NIPA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