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상징. (사진=국토부)
정부는 이를 통해 지난해 달성한 해외건설 수주 1조달러를 넘어, 향후 2조달러 시대를 열 핵심 동력으로 삼겠다는 구상이다.
이번에 조성된 PIS 2단계 펀드는 정부와 공공기관이 출자한 4400억원 모펀드에 민간 6600억원을 매칭해 완성됐다.
이 가운데 3180억원은 민간자금 3820억원과 결합돼 블라인드펀드 7000억원으로 꾸려졌다.
나머지 1220억원은 향후 순차적으로 모집되는 민간자금 2780억원과 함께 프로젝트펀드 4000억원을 조성해 사업별로 투자할 예정이다.
블라인드펀드는 세 가지 유형으로 운용한다. 먼저 ‘수주강화펀드’는 2500억원 규모로 베트남, 튀르키예 등 국가신용등급 BB- 이상 국가에서 교통·도시개발 등 인프라 공기업 참여사업에 집중한다.
‘수주활력펀드’는 2600억원 규모로 조성하며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BBB- 이상 국가의 우리 기업 수주·수출 지원을 목표로 한다.
‘해외선진펀드’(1900억원)는 미국·영국·사우디아라비아 등 신용등급 BBB+ 이상 선진국의 신규 및 운영 중인 자산에 투자해 안정적 수익을 추구한다.
프로젝트펀드 4000억원은 국가 구분 없이 발굴된 사업에 맞춰 펀드 조성과 투자가 동시에 이뤄지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이 참여하는 해외 투자개발사업에 신속한 금융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국토부는 지난 2019년부터 1조 5000억원 규모의 PIS 1단계 펀드를 운용하며 올해 6월까지 총 13개국 29개 사업에 투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약 22억달러(3조 1000억원) 규모의 해외 수주와 수출을 견인했다. 수주 국가도 미국(46%), 프랑스(21%), 튀르키예(11%), 영국(8.5%) 등 선진국까지 넓어졌다.
남영우 국토부 건설정책국장은 “지난해 해외건설 1조달러 수주를 달성했고, 앞으로 ‘해외건설 수주 2조달러 시대’를 견인할 핵심 동력은 해외 투자개발사업”이라며 “이를 위해 금융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인 만큼, PIS 2단계 펀드가 우리 기업의 진출을 선도하는 역할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