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P 맞은편 광희동, 패션·뷰티산업 중심지로 개발 박차

재테크

이데일리,

2025년 9월 04일, 오전 10:00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서울시는 지난 3일 열린 제14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중구 광희동 34-1번지 일대 ‘광희동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정비계획 결정 및 경관심의안’을 수정가결했다고 4일 밝혔다.

광희동 도시정비형 재개발사업 위치도.(사진=서울시)


광희동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은 을지로, 동호로, 퇴계로, 장충단로로 둘러싸인 지역이다. 인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일대의 도심활성화 및 패션·뷰티산업 허브 육성을 위한 도시관리 목표 실현과 지역 여건 변화를 반영하고, 민간 주도 정비사업의 공공성 증대를 위해 서울시에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안 마련을 추진해왔다.

이번 정비계획의 주요 내용은 정비유형별 총 30개소의 지구를 계획해 유형별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 건축물 밀도를 계획했다. 이번 심의를 통해 도심 경쟁력 강화 및 주변지 개발 현황을 고려해 기준높이를 70m에서 20m를 추가 완화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및 정원도시 서울’의 정책 실현을 위해 퇴계로변~청계천, 세운~도심동측, 마른내로변에 공원, 개방형녹지 배치를 통해 자연 친화적 보행·녹지 공간 조성을 유도했다. 이와 연계해 을지스타몰(4구역)과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지하철역이 이어지도록 지상 공원의 하부에 보행전용 지하도로를 배치해 보행 편의성 및 시민 휴게 공간을 강화했다.

특히 DDP는 국내 대관시설 중 최고수준인 연간 대관률 74%로 다양한 문화·체험행사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내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 방문자 수도 높은 만큼 이를 고려해 관광숙박시설, 관광지원시설(관광안내소 등), 뷰티·패션용도 시설 등을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계획을 수립했다.

이번 정비구역이 지정됨에 따라 도로, 공원 등 열악한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을지로2가구역 SK빌딩 등과 같은 대규모 개발이 가능해졌다. 이번 정비계획은 향후 각 사업지구별로 사업계획을 수립할 때 지침이 되는 공공정비계획이며, 구체적인 사업계획은 주민제안을 통해 확정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광희동 일대는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라며 “이번 정비계획 결정에 따라 낙후된 대상지 일대를 패션·뷰티산업 중심지로 활성화하고 주거·관광 등 복합용도가 어울러질 수 있는 정비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지역 경쟁력을 높이고 서울 도심부 위상에 맞는 공간으로 재편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