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 후보 "기후에너지부 우려"…"美 관세 협의, 국익 최우선"(종합)

경제

뉴스1,

2025년 7월 17일, 오후 10:34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여야는 17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정관 후보자에게 농산물 시장 개방 우려를 포함한 대미 관세 협상, 에너지 정책 및 조직 개편 방향 등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도덕성 검증에서는 민간기업 출신이라는 점을 중심으로 이해충돌 방지 대책을 두고 공방이 벌어졌다.

김 후보자는 "대미 관세 협상에 직접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보고는 받고 있다.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참으로 엄중한 시기"라며 "(협상) 기한은 있지만, 기한보다는 더 중요한 게 우리의 국익을 지키는 게 훨씬 더 중요한 일"이라고 말했다.

"우루과이 협상 기억 선명…협상 기한보다 국익을 앞에 두겠다"
김 후보자는 모두발언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으로 우리 수출을 견인하던 자유무역, 국제규범은 더 이상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며 "미 관세 조치 등에 대해서는 국익 극대화를 전제로 실용적인 통상정책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농업계에서 우려하는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재개, 쌀 시장 추가 개방 관련 입장을 물었다.

이에 김 후보자는 "처음 공무원을 시작할 때 우루과이 라운드 협상이 있었는데, 그때 농민, 축산민들이 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겪었는지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며 "(농산물 분야 협상이) 우리 농민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는 서왕진 조국혁신당 의원의 '소고기와 쌀 등 주요 품목에 대한 미국의 요구를 이미 수용한 상황은 아닌가'라는 질의에는 "그런 상황은 아니라고 알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재생에너지·원전 함께 가야…"에너지 고속도로는 꼭 해야 할 과제"
이 외에도 청문의원들은 미국의 고율관세부과에 타격이 큰 자동차부품, 철강 업계 지원 대책, 조선업 강화를 통한 협상 카드 마련을 주문했다.

김 후보자는 '에너지 믹스' 입장을 밝히며 "재생에너지, 원자력 발전, 수소 등 모든 에너지가 현실적으로 조화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에너지 정책 분야에서는 여당은 재생에너지 정책, 야당은 원자력 정책을 집중 추궁했다. 이 자리에서 김 후보자는 외국 설비 중심의 재생에너지 시장에 대해서는 국산화 증대 의지를 표명했다.

그는 "(두산에너빌리티 재직 당시) 해상풍력 관련 업무를 하면서 국내 공기업들조차도 국산보다는 오히려 외산을 더 선호하는 모습들을 봤다. 그때 피가 거꾸로 솟친다는 그런 서운함이 들었다"며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태양광이나 풍력의 일정 부분은 국내 기업들이 반드시 생산해야 하기에 종합적으로 살펴 가면서 추진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전 정부에서 확정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냐'는 야당 의원의 질의에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여야 간 합의를 통해서 어려운 가운데서 만들어져 에너지 분야가 정치에서 벗어나 필요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에 있지 않냐는 기쁜 마음이었다. 합의된 내용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답했다. 11차 전기본은 신규 원자력발전소 2기, 소형모듈원전(SMR) 1기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우려"…"조직 개편 한참 추진 중"
현재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두고서는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후에너지부가 신설되면 현재 산업부의 에너지 정책 업무가 이관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은 기후에너지부 신설을 두고 찬반 의견을 묻자 김 후보자는 "조직 개편 이슈는 한참 추진되고 있다"고 답했다. 김 의원이 "반대라고 이해해도 되겠지요. 당연히 반대라고 하셔야지요"라고 거듭 묻자, 김 후보자는 미소를 띠며 고개를 끄덕였다.

앞선 질의에서 김 후보자는 "산업과 에너지는 굉장히 밀접하게 연관된 관계"라며 산업부 내 에너지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전체회의장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7/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이력 두고 이해충돌 논란…"가이드라인 만들겠다"
김정관 후보자는 대통령실의 산업부 장관 지명 당시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으로 재직한 상태였으며 이후 사직한 뒤 6억 4000만 원 상당의 주식도 전량 처분한 상태다.

박상웅 국민의힘 의원은 "원전 산업의 대표적 기업이라고 알려진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출신인데, 산자부 장관으로 지명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두산에 무슨 특혜를 주는 모습인가라는 의문을 갖게 한다"며 "원전을 보조 에너지원으로 가져가고 재생에너지로 중심을 옮겨 가더라도 두산에너빌리티는 큰 손해를 볼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이해충돌 해소 방안을 묻자 김 후보자는 "혹시라도 이해 충돌 오해 소지가 있으면 제 나름대로 (관련 의사결정 배제·최소화 등)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대내외에 공개해 각별히 주의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freshness410@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