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 본사 전경. (사진=기아)
1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임단협 요구안을 지난 11일 사측에 제출했다. 기본급 인상 요구는 현대차 노조와 동일하며 성과급은 순이익이 아닌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제시했다.
기아는 지난해 매출 107조원을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100조원을 돌파했고 영업이익은 12조 667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기준으로 30%를 단순 계산하면 성과급 규모는 약 3조 8000억원에 달한다. 조합원 수 약 2만 7000명을 기준으로 보면 1인당 1400만원 수준이다.
노조는 이외에도 지난해 대법원 전원합의체의 통상임금 판결과 관련해 조합원 특별위로금 2000만원 지급을 요구했다. 대법원은 해당 판결에서 ‘고정성’ 요건을 삭제하고 일부 조건부 상여금도 통상임금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판결은 소급 적용이 제한됐지만 노조는 위로금 형식으로 실질적 보상을 요구한 것이다. 이를 전 조합원에게 지급할 경우 약 5400억원 규모다.
정년 연장도 주요 쟁점이다. 노조는 국민연금 수령 개시 연령이 2033년 65세로 늘어나는 점을 들어,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만 64세까지 연장할 것을 요구했다. 기아는 현재 정년퇴직 후 1~2년간 재고용하는 ‘베테랑 제도’를 운용 중이지만, 정년 자체를 연장하는 방안에는 선을 그어왔다.
근로시간 단축 요구도 핵심 변수다. 기아 노조는 주 4일제를 현대차 노조는 주 4.5일제 도입을 각각 요구안에 포함해 사측과 협상 중이다. 특히 새 정부가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노조는 제도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다만 제조업 구조상 근로시간 단축은 생산량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 사안으로 사측 부담이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일각에선 미국의 관세 재부과 가능성, 중국 전기차의 수출 공세 등 대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경영 환경이 녹록지 않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기아 노사는 2021년부터 4년 연속 무분규로 임단협을 타결해왔지만 올해는 성과급, 위로금, 정년·근무제 등 대규모 재원과 제도 개편을 수반하는 요구안이 포함되면서 협상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