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HN 조윤진 인턴기자) 국내 500대 기업에서 여성 임원이 6년 만에 2배 이상으로 늘면서, 그 비중이 전체 임원의 8%에 돌파했다.
지난 8일,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76개사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전체 임원 1만5천16명 중 여성은 1천210명으로, 전체의 8.1%를 차지했다. 이는 2019년 505명(3.8%)에서 6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여성 임원의 증가는 2022년 자본시장법 개정안의 영향이 컸다. 해당 법안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상장사의 이사회 구성에서 특정 성별만으로 채우는 것을 금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2023년부터 관련 기업들의 여성 임원 선임이 본격적으로 확대됐다.
하지만 여성 임원의 다수는 여전히 경영 핵심에서 떨어진 사외이사에 집중돼 있다. 2019년 여성 임원 중 90.5%가 미등기 임원이었지만, 올해는 71.6%로 줄어든 대신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등기임원 증가가 두드러졌다.
특히, 여성 사외이사는 38명에서 292명으로 7.6배 급증했다. 반면 같은 기간 미등기 임원은 457명에서 866명으로 2배를 넘기지 못했다.
등기임원 내 쏠림 현상도 주목받는다. 여성 사내이사 비중은 2019년 20.8%에서 2022년 12.7%로 하락한 이후 최근 15% 안팎에 머문다.
전체 등기임원 가운데 여성 사외이사의 비율은 79.2%에서 84.9%로 상승했다. 남성 사내이사는 2019년 38.1%로 잠시 하락했다가, 현재는 50% 수준을 유지 중이다.
업종별로는 생활용품(19.5%), 제약(19.0%), 서비스(13.2%), 식음료(13.1%) 등 소비재 업종에서 여성 임원 비율이 높았다. 반면, 조선·기계·설비(3.3%), 에너지(3.6%), 건설·건자재(3.7%) 등의 분야는 여성 비중이 5%에도 미치지 못했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14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0명, 60대 6명, 70대 이상이 4명이었다. 최연소 사내이사는 41세의 한진그룹 차녀 조현민 사장이며, 전문경영인 중에서는 43세의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가장 어렸다. 최고령은 하란수 디와이덕양 명예회장으로, 91세다.
한편, 올해 여성 사내이사 수는 총 34명으로, 이 중 14명(40%)은 오너 일가 또는 그 친인척 출신이었다. 특히 이들 중 11명은 사장 이상 직위를 맡고 있다.
전문경영인 출신 여성 사내이사는 다수였지만, 최고경영자(CEO)급은 6명에 그쳤다. 올해 새로 선임된 여성 사내이사로는 DL이앤씨의 이정은 실장과 현대자동차의 진은숙 부사장 등이 있다.
리더스인덱스는 "표면적으로는 성별 다양성이 확대됐지만, 여성 임원의 상당수가 사외이사 중심으로 증가하는 데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