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은 후보자의 전문성 부족과 부산 이전에 따른 각종 부작용을 우려했고, 해수부 장관을 발판 삼아 내년 부산 시장에 출마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전 후보자는 “부산 이전으로 인한 효과가 세종 잔류 시보다 크다”며 “수산업 소외가 없도록 2차관 제도 도입 등 기능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는 전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열었다. 전 후보자는 이날 인사말을 통해 “부산 이전은 북극항로 추진을 위한 ‘첫 단추’가 될 것”이라며 “수도권 중심 일극 체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라며 공약 이행 의지를 드러냈다.
야당은 부산 이전에 대한 우려와 더불어 전 후보자의 전문성 부족을 집중적으로 질타했다. ‘부산 3선’ 현역 의원이지만, 의정 활동 중 농해수위 관련 경력이 없었다는 점을 부각한 것이다. 또 부산 이전에 따른 해수부의 행정 기능 약화, 일부 자료 제출 미비 등도 지적했다. 여당은 전 후보자의 해양항만 정책 이해도가 높고, 각종 법안 발의 경력이 있다며 그를 비호했다.
이만희 국민의힘 의원은 “윤석열, 문재인 정부에서도 해수부 장관은 모두 전문가들이 맡았다. 후보자는 의정생활 중 해양수산 관련 토론회 1~2번 개최, 본회의를 통과하지 못한 법안 3~4건 발의에 그쳤다”며 “다음 지방 선거를 염두에 둔 것 외에는 이해할 길이 없다”고 했다. 같은 당 강명구 의원 역시 전문성 부족을 지적하며 “내년 부산 시장에 출마하는 것이 아니냐는 세간의 이야기가 있다”고 날을 세웠다.
전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이자 공약인 해수부 이전, 북극항로 추진 등을 제가 설계했다”며 “전문성이 없다면 과연 해수부를 떼어 내 부산으로 옮기겠다는 이러한 구상이 가능했겠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부산 사람이고, 부산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이라면 바다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고 답했다.
또 부산 시장 출마설에 대해서는 “지금은 생각할 겨를이 없다. 장관이 되면 해야 할 일이 쌓여 있다”고 답했다. 다만 “불출마 선언이라고 봐도 되냐”고 강 의원이 재차 묻자 “세상 일을 단정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고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 “부산 이전은 필수…2차관제·조선 기능 이관 필요”
전 후보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자신했다.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해수부는 부산에 있어야 제대로 된 대응이 가능하다”며 “세종에 있을 때 효과가 100이라면, 부산에서는 1000, 1만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또 “외청보다 부산 이전의 효과가 더 크다”며 “직원 거주를 위해서는 부산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협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전 후보자는 수산업을 관장할 2차관 제도 도입,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부문 이관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수산업이 소외되지 않게 정책적·예산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했고, 이에 대해 전 후보자는 “해수부에 수산 전담 차관이 전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편에 국회의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전 해수부 장관이었던 조승환 국민의힘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을 가져와야 한다고 보느냐”고 물었다. 전 후보자는 “해양 분야와 산업 분야는 같이 가야 하기 때문에 실제 산업 기능을 확보하고, 2차관 제도를 통해 수산업 등도 함께 살펴야 한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장에는 참고인으로 해수부 이전에 반대해 온 이상국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해수부 지부장이 출석하기도 했다. 이 지부장은 “소통 없는 일방적인 이전에 반대한 것이고, 충분한 절차상 문제가 해결되면 동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 지부장은 전 후보자에게 취임 후 이주 시 처우 문제 등에 대해 노사 협의가 필요하다고 요청했고, 전 후보자는 “적극적으로 소통에 임하겠다”고 화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