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열린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7.14/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과 관련해 "직접 설계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 플랜트 기능을 (해수부로) 가져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 전 후보자는 야당인 국민의힘 이만희 의원의 '전문성과 해수부 이전' 관련 질의에 "전문성이 없다면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의 설계와 결정이 가능하겠는가"라며 이 같이 답했다.
이어진 조승환 국민의힘 의원의 '해수부 기능강화'에 대한 질의에는 "산업부 내에 조선해양 플랜트를 가지고 와야 된다"고 강조했다. 또 "해수부 본연의 중앙정부의 정책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 실제 산업 기능을 완벽하게 확보해야 된다"는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말했다.
전 후보자는 이날 여야 의원들의 해수부 부산 이전과 관련한 질의에 대해 "세종 행정도시 완성'에 역행하거나 전반적 국가균형 발전 측면이라는 큰 틀에서 훼손이 없다"며 "해수부가 세종에 있을 때 효과가 100이라고 한다면 부산으로 이전해 해수부를 거점으로 삼아 북극항로 시대를 제대로 준비하고 선도해 나간다면 '1000', '10000'의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명구 국민의힘 의원의 "해수부 부산 이전 보다 외청을 두자는 의견이 있다“는 질의에는 "구체적 검토는 해보지 않았지만 외청 보다는 부산 이전 효과가 더 크다"면서 "해수부 부산 이전 효과가 더 크고 부산으로 이전해도 세종 행정수도 완성을 역행하거나 국가균형 발전 측면의 큰 틀에서 훼손이 없다"고 답했다.
또 여당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복수차관제 도입과 국가해양수산위원회 설치"에 대한 질의에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하면 수산업 종사자들뿐 아니라 수산업이 소외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러한 걱정이 일소될 수 있도록 해수부에 수산 전담 차관이 전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양위원회 설치' 질의에는 “관계부처와 잘 협의하고, 대한민국이 해양수산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그렇게 하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이날 청문회에서는 부산이전과 관련해 해수부 공무원들에 대한 당부의 말도 나왔다. 조승환 국민의힘 의원은 "부산 이전 공무원들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용되는 공무원들까지 (주거, 교통 등의 문제에 대해) 생각해 달라"고 당부했다.
어기구 농해수위 위원장도 "부산 이전과 관련해서 해수부 공무원들의 동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직원들과 충분한 소통을 당부드린다"고 거들었다.
bsc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