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 동구에 붙은 해수부 이전 환영 현수막 (사진=연합뉴스)
해수부는 “연내 부산 이전을 마쳐라”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부처 내 자체 이전 추진단을 띄우고, 입지 선정 등에 속도를 냈다. 이전 대상지인 부산시는 해수부에 입지와 건물 등을 추천하는 등 협력했고, 지난 1일 추진단이 결성된 후 9일 만에 입지 선정을 마치게 됐다.
그러나 850여명에 달하는 본부 직원들의 거주, 이주 비용 등 현실적인 문제는 아직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지 않았다. 임대를 위한 건물 계약도 아직 체결 전으로, 기간과 비용 등 이전에 필요한 예비비도 정확히 산정되지 않은 상태다.
이에 오는 14일로 예정된 전재수 해수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부산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추진 계획, 이에 따른 직원들의 대책 등이 주로 논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 후보자는 ‘부산 3선’ 현역 의원 출신으로 부산 현안에 밝은 만큼 부산 이전에 자신감을 드러냈지만, 부산 이전과 함께 추진해야 할 북극항로, 장기적인 기후변화 대응 등 다양한 현안에서 ‘전문성’을 증명해야 한다.
전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는 이상국 전국공무원노동조합 해양수산부 지부장이 참고인으로 출석한다. 해수부 노조는 일방적인 통보에 따른 이전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들은 최근 여의도 국회 앞에서 부산 이전 반대를 위한 시위에 나서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한편 전 후보자가 무사히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더라도, 해수부는 이전과 더불어 다양한 변화를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 후보자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조선해양플랜트 기능, 국토교통부의 항만 배후단지 개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해수부로 이관시켜 ‘시너지’를 노리겠다는 구상을 밝혔던 만큼, 권한·기능 확대 등 가능성도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