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언주 최고위원이 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5.8.5/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3선·경기 용인정)은 5일 "환경부 장관이 에너지 업무를 환경부로 이관시키면 재생에너지가 확대된다는 주장을 하는 모양"이라며 김성환 장관(3선·서울 노원을)을 직격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위인설관(爲人設官·특정한 인물을 위해 관직을 마련함)은 나라를 망친다'는 제목의 글을 통해 "기후에너지부 신설 공약이 왜 느닷없이 에너지 업무의 환경부 이관으로 변질됐는지 이제야 감이 잡힌다"며 이렇게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업무를 환경부로 이관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편안에 있어 우려 입장을 내놓고 있는 이 최고위원은 "왜 수많은 부작용과 위험에도 불구하고 아무 실익도 설득력도 없는 에너지 업무의 환경부 이관을 추진하나 했더니, 혹여 환경부 장관이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겠다고 환경부로 갔기 때문인가 싶어 참 어이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에너지 업무를 관장하고 싶었으면 정부조직개편이 끝나고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한 다음에 장관으로 갈 일이지, 왜 환경부로 가서 이 사달을 벌이는 건가"라며 "이 모든 사달이 결국 김 장관의 자리를 위한 난리란 말인가. 위인설관은 나라를 망치는 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사태를 묵과하는 것은 나라나 당을 위함도 아니고, 대통령에 대한 충정도 아니며, 단지 눈치보기요, 간신짓에 불과하다"고도 했다.
그는 "공론화해야 마땅하다. 왜 검찰개혁은 공론화하면서 에너지처럼 민생과 경제에 직결되는 이슈는 공론화하지 않는가"라며 "길 가는 국민 누구든 붙잡고 에너지를 환경부에 이관시키는 게 맞는지 물어보라. 열이면 열 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에 앞서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해당 사안은 "반드시 재고돼야 한다"며 "노동부 업무가 산업부로 이관되거나 산업부 업무가 노동부로 이관된다든가 이런 것과 유사하지 않나"라고 하기도 했다.
한편 이 최고위원은 전날(4일) 강미정 조국혁신당 대변인이 당내 성비위 사건 처리 과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탈당 선언을 한 사건을 두고 조국 조국혁신당 혁신정책연구원장과 최강욱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을 싸잡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조 전 대표는 (성비위 사건을) 옥중에서 보고받았다는데, 사면·복권으로 나와서도 모르쇠로 일관하다 뒤늦게 후회한다는 메시지를 SNS에 올렸다"며 "대중의 눈치만 살피면서 SNS 정치로 일관하는 조 전 대표의 태도가 심히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또 해당 사건에 대한 이른바 '개돼지' 발언으로 2차 가해 논란이 인 최 원장을 향해 "발언 내용도 용인하기 어렵거니와 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왜 다른 당에서 물의를 일으켜 우리를 난감한 상황으로 끌어들이는 건지"라며 "당의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cho1175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