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대응 경각심 일으킨 李대통령…"실수 용납 안 한다"

정치

뉴스1,

2025년 7월 20일, 오전 05:00

이재명 대통령이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7.18/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전국적인 집중호우 등 재난 대응과 관련해 전 부처와 유관 기관에 총력 대응 태세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마주한 첫 자연재해인 만큼 '국민 안전'을 강조하며 윤석열 정부의 치명적 실책을 거듭하지 않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0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지난 18일 집중호우 피해가 이어지자 예정된 부산 타운홀미팅 일정을 취소하고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국가의 제1책무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충분히 예측될 수 있는 상황인데도 대응을 잘 못해서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례가 보인다. 다시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17일 제4차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과잉 대응이 소극 대응보다 낫다"며 대응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강조했다. 아울러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일에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며 정부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일선 현장 책임자까지 '한 치의 허점도 없는 대응'을 당부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2025.7.1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산재 불명예 반드시 끊는다"…강도 높은 대응 예고
이 대통령은 산업재해 대응에도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 대통령은 제4차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며 "삶의 터전이 돼야 할 일터가 죽음의 현장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산업재해율 또는 사망 재해율이 가장 높다고 하는 이 불명예를 이번 정부에서 반드시 끊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포스코 광양제철소 노동자 사망 사고를 언급 "사고 원인을 신속하게, 또 철저히 조사해 안전조치 등 미비점이 없는지에 대해 신속하게 확인하고, 잘못에 대해서는 엄정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이 대통령은 △근로감독관 300명 증원 △단속 공무원 특별사법경찰 자격 부여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등 필요한 조치를 검토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李대통령, '국민 안전' 행보로 尹정부와 차별화
이런 이 대통령의 행보는 국민의 삶과 밀접하게 맞닿은 '안전' 문제를 챙기며 윤석열 정부와 차별화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당선이 확실해진 후 대국민 감사 인사에서 국민이 맡긴 '5가지 사명' 중 하나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국가의 제1책임을 완벽하게 이행하는 안전한 나라"를 꼽기도 했다.

수도권 등 중부지방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지난 2022년 8월 8일 윤석열 전 대통령은 서초동 자택 주변이 침수돼 용산 대통령실에 있는 위기관리센터로 이동하지 못했다. 대신 윤 전 대통령은 자택에서 '전화'로만 지시를 내렸다. 그 사이 서울 동작구·서초구에서 시민들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대통령은 16일 이태원·무안 여객기·오송 지하차도·세월호 등 사회적 참사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 207명을 만나 "국정의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다시는 정부의 부재로 국민이 생명을 잃거나 다치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계기로 삼았으면 좋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 간담회에서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SNS. 재판매 및 DB 금지) 2025.7.17/뉴스1 © News1 허경 기자


bchan@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