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2025.7.14/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보좌진 갑질 논란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자녀 조기유학 및 논문 표절 의혹이 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비판 여론이 높아지며 여권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여당은 주요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슈퍼위크'가 끝나는 18일까지는 추이를 살핀다는 분위기다. 초대 내각 구성에서 한번 밀리면 '낙마 릴레이'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은 17일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명의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실은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한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없다"고 밝혔다.
주요 언론들이 이날 강 후보자에 대해 대통령실이 '자진사퇴로 기울었다'는 취지로 보도하자 일단 두 후보자 사퇴 가능성엔 선을 그은 것이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대통령실 기류 변화는 없다고 공포한다"고 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2000년 인사청문 제도 도입 이래 현역의원이 낙마하는 첫 사례다.
더불어민주당도 18일까지는 여론을 지켜본다는 방침이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도 그간의 입장에서 바뀐 건 없다"며 "기본적으로 청문회를 통해 검증이 이뤄지고, 임명할지 안 할지 판단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하는 거고 그 과정에서 종합적으로 판단할 문제"라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 최측근인 이른바 '7인회'의 김영진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이번 주 인사청문회가 전체적으로 진행되고 (나서) 그에 따르는 국민의 평가 눈높이, 계엄 이후 민주주의 회복 등 이재명 정부의 정책을 집행하는 장관 역할 부분을 총괄적으로 보며 판단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강 후보자 관련 사안들은 청문회 과정에서도 문제를 제기했고 그 부분들과 국민 여론, 국민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국정기획위원회 기획위원인 윤준병 의원은 이날 YTN 라디오에서 두 후보자 청문회와 관련해 "본인 입장도 있고 해서 평가를 종합적으로 하는 것으로 안다"며 "(대통령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합리적 판단을 할 걸로 기대한다"고 말을 아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2025.7.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등 '다음 스텝'은 주말을 거치면서 고려할 전망이다. 민주당은 국민의힘이 청문 대상 전원 청문보고서 채택 보류 방침을 밝힌 것엔 보고서 채택과 특정 후보자 낙마를 '거래 대상'으로 삼을 순 없다는 입장이다.
김 원내대변인은 "후보자가 부적격이라면 보고서에 부적격 의견을 내서라도 채택하는 게 여야 협치, 국정의 도리"라며 "보고서 채택을 위해 전체회의 요구를 계속하는 상황이고 국민의힘이 협조하지 않으면 그 상태에서 대통령실로 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그러면 다시 국회에 이송해 와서 (대통령이 재송부를) 요청하는 절차대로 갈 수밖에 없지 않나"라고 덧붙였다. 청문보고서 채택 시한을 넘기면 대통령은 10일 이내 기간을 정해 재송부를 요청하고, 그 기한 내에 채택되지 않으면 장관 후보자를 임명할 수 있다.
다만 여권에서도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재송부 기간 추가 의혹이나 폭로가 나올 경우 여론을 외면한 임명 강행이 곧 정부 국정운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전날(16일) 한 유튜브에 출연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여론 동향이 매우 안 좋게 돌아가는 것도 그대로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지원 민주당 의원은 이날 라디오에서 "김대중 대통령은 '내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 생각을 따르는 것이 정치'라고 했다"며 "민심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했다.
smi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