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대통령 “304. 159. 14. 179 기억할 것”…숫자 의미 보니

정치

이데일리,

2025년 7월 17일, 오전 07:28

[이데일리 강소영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세월호·이태원·오송지하차도·제주항공기 참사 유가족 200여 명을 만나 위로를 전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쓴 글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 간담회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과 만나 인사를 나누는 모습. (사진=대통령실)
이 대통령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감히 어떤 말로도 위로가 될 수 없음을 알지만, 국가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를 대표해 머리 숙여 깊이 사죄드렸다”고 말했다.

이어 “예방할 수 있었던 사고가 반복됐고, 피할 수 있었던 비극 앞에 무력했다”며 “죽지 않아도 될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고, 다치지 않아도 될 사람들이 상처를 입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한없이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며 “이를 피하지 않겠다. 미흡했던 대응과 변명, 회피, 충분치 않았던 사과와 위로까지. 이 모든 것을 되돌아보고 이제부터라도 하나하나 바로잡아가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애끊는 그리움과 헤아릴 수 없는 고통을 짊어지고 살아가는 유가족들에게 국가가 또다시 등 돌리는 일, 이재명 정부에서는 결단코 없을 것”이라며 “오늘 전해주신 말씀 전부 철저히 검토하고, 가능한 영역에서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약속 드린다”고 덧붙였다.

글 말미에는 “304, 159, 14, 179 저마다의 이름과 꿈을 안고 스러져 간 656개의 우주를 기억하겠다. 잊지 않겠다”고 남겼다. 이는 세월호 참사 희생자(304명), 이태원 참사 희생자(159명), 오송 참사 희생자(14명), 무안 여객기 참사 희생자(179명)를 의미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 세월호·이태원·오송지하차도·제주항공기 참사 유가족 200여명을 초청해 대화를 나누고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

이 대통령은 모두발언을 통해 “국가의 제1책임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라며 “나라의 주인이 국민이다.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데, 국민이 위협을 받을 때 국가가 그 자리에 있지 못했다”고 돌아봤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 사회적 참사 유가족과 간담회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을 초청하고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사진=대통령실)
이어 “국정 최고 책임자로서 정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점, 그로 인해 많은 사람이 유명을 달리한 점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부를 대표해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고 한 뒤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였다. 그러자 일부 유족은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거나 흐느꼈다.

유가족의 발언도 이어졌다. 송해진 이태원참사 유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이태원참사 정보를 특별조사위원회(특조위)에 제공할 것, 참사 전후 경찰의 수사기록 일체를 공개할 것 등을 제안했고, 김유진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특별법 개정을 통한 진상 규명 ▲둔덕과 항공 안전 시스템에 대한 전수 점검 ▲트라우마 센터 설립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종기 세월호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도 “박근혜 전 대통령의 ‘7시간’에 대한 기록물이나 참사에 대한 국정원 및 군의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피해자의 권리를 지킬 수 있도록 ‘생명안전기본법’이 올해 안에 제정돼야 한다”고 촉구하기도 했다.

생명안전기본법은 지난 3월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을 비롯해 국회의원 71명이 공동발의한 법안으로, 안전사고의 발생 원인과 국가·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안전사고 대응 적정성에 대한 객관적이고 독립적인 조사의 보장, 안전 영향 평가제도 등을 규정함으로써 모든 사람이 자신의 생명·신체·재산을 보호받을 수 있는 안전 사회를 건설·확립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대통령 또한 생명안전기본법 제정을 대선 공약으로 내건 바 있다. 이에 지난 4일 취임사를 통해 “세월호와 이태원, 오송지하차도 등 우리의 민낯인 사회적 참사의 진상을 명확히 규명하고, 다시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이 위협받지 않는 안전사회를 반드시 건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