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문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 중 자녀 조기유학 등 논란 관련 고개숙여 사과하고 있다. 2025.7.16/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여야는 15일 국회 교육위원회의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 후보자의 자녀 조기유학 및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 등을 두고 충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후보자에게 소명 및 사과 기회를 주는 데 주력했고, 국민의힘은 공교육 정책을 담당할 교육부장관 자격이 없다며 자진사퇴를 압박했다.
진선미 민주당 의원은 "국민적 관심사가 자녀 유학과 논문 문제다, 주로 이공계 교수님들은 '1저자'가 많아 아쉽지만 논문 표절이나 중복 게재로 보긴 어렵다고 한다"며 교육부 장관 후보자 자녀가 조기유학을 한 점, 논문 표절·가로채기 의혹이 제기된 점에 대한 입장을 물었다.
같은 당 김문수 의원은 "실제 문제가 그렇게 심각하지 않은데 밖에서 왜 이렇게 시끄러운지 의문"이라며 "제가 보기엔 여성으로 국립대 총장까지 하고 두 자녀를 키우며 여기까지 온 것은 대단하다"고 말했다.
이어 "너무 앞만 보고 달려가다 보면 주변을 잘 못 챙길 수도 있고 이런 문제가 생긴다"며 "국민에게 제대로 허리 숙여 사과할 의향이 있나"라고 했다. 이 후보자는 "실수가 있었던 점에 국민에게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일어서서 허리를 90도로 숙였다.
반면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여야뿐만 아니라 진보단체, 보수단체, 사회단체, 이 후보자 모교 동문회, 국민검증단에서 이 후보자는 안 된다고 결론 내렸다"며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대통령이 임명을 철회하기 전 스스로 사퇴할 의사가 있나"라고 압박했다.
같은 당 김민전 의원은 "공교육이 제 역할을 못 해 상위층 자제는 한국을 떠난다면 공교육은 더 황폐해지는 것"이라며 "교육부 장관의 경우 논문 문제로 낙마한 분이 네 분이나 있다. 국민 정서가 반영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준혁 민주당 의원은 이에 "논문 표절로 장관 후보자가 사퇴한 예는 없다"며 "(보수 언론에서 공격받을 때) 제 별명이 '막말 김준혁'이었다. 오해 소지가 있으면 사람이 처참하게 망가지는데 사실관계를 밝히려는 측면에서 이야기한다"고 방어했다.
정성국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청문회에서 이 후보자의 직장 내 괴롭힘 의혹을 새롭게 제기했다. 고용노동부에 이 후보자를 상대로 제기된 노동관계법 위반 신고 및 진정 접수 9건 중 2건이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라는 것이다.
이 후보자는 자료 제출 입장을 표하면서도 '본인 관련 사안이냐'는 정을호 민주당 의원 질의엔 "절대 아니다. 기관장으로 그렇다"며 "문제가 된 기억이 전혀 없는 걸 보면 초기 단계에서 신고됐다가 취소된 사건으로 알고 있다. 그렇게 추론된다"고 답했다.
이 후보자는 민주당 소속 김영호 교육위원장이 논문 가로채기 의혹 관련 "항의성 불만을 가진 제자가 단 한 명이라도 있냐"고 물은 것에 "많이 있다"고 말실수를 해 청문회장에 웃음이 터지기도 했다. 그는 곧바로 "저한테 그런 불만을 얘기한 제자는 없다"고 정정했다.
이 후보자는 야당 간사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아이들 조기유학 보낼 때 교육부 장관 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 안 했을 것이다. 지금 덜컥 온 것 솔직히 맞지요"라고 물은 것엔 "맞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여야는 증인·참고인 '0명' 채택과 자료 제출을 두고도 대치했다.
김 위원장은 "이 후보자가 자료요청 요구 427건 중 19건을 제출 안 해 통계상 95.6%를 제출했다"며 "역대 후보 중 가장 높은 자료 제출률이다. 칭찬하고 싶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자격도 안 되는 후보를 방어하느라 정말 안쓰럽다"고 비꼬았고,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검증하려고 청문회를 하는데 시작도 전에 '자격'도 안 되는 후보'라고 규정하는 발언을 묵과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smit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