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성평등가족부 초대 장관의 무게

정치

뉴스1,

2025년 7월 16일, 오전 06:00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2025.7.14/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20대 대선에서 윤석열 당시 후보는 여성가족부(여가부) 폐지를 공약했다. 이후 윤석열 정부 3년간 여가부는 폐지될 부서라는 낙인으로 침잠했다. 장관 공석이 이어진 건 16개월째다.

21대 대선에서 이재명 당시 후보는 전임 정부와 달리 여가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해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실제 새 정부 출범 뒤 지난달 23일 첫 장관급 인선 발표에 여가부가 포함됐다. 후보자로 지명된 강선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여가부 장관으로 임명될 경우 성평등가족부 초대 장관이 될 공산이 크다.

그러나 지명 뒤 쓰레기 분리수거, 비데 수리 지시 등 보좌진에 대한 갑질 논란이 제기됐다.

국회 보좌진 등의 익명게시판엔 "드러난 게 빙산의 일각" "대통령한테 힘을 싣고 싶은 마음이야 우리도 누구보다 간절하지만 이전 동료들이 내부 고발한 걸 어떻게 커버하나" 등 비판이 쏟아졌다. 청문회 이튿날인 15일엔 임금체불 의혹도 제기됐다.

여권은 그럼에도 '결정적 한 방'은 없었다면서 여론이 등 돌릴 치명적 의혹이 새로 나오지 않는 한 임명은 그대로 할 것이란 기류다.

강 후보자가 청문회에서 "제 부덕의 소치"라며 수차 사죄한 것이 유효했다는 평가도 들린다.

도덕적 흠결에 진심 어린 사과를 했으니 답이 됐다는 생각인 듯하다. 중요한 것은 장관의 능력과 자질이라는 전제도 깔려 있다.

그렇다면 강 후보자는 성평등가족부 수장으로 정책 역량은 충분히 갖췄는가.

국회에 낸 청문회 서면 답변 자료를 보면 강 후보자는 여성계가 요구하는 비동의강간죄를 비롯해 유엔 기구가 2007년부터 14차례 제정을 권고한 차별금지법, 생활동반자법, 포괄적 성교육 등 쟁점에 '사회적 합의'를 앞세워 유보적 답변만 내놨다.

이 대통령이 청문요청사유에 담은 '차별받지 않는 세상, 사회적 약자의 생명권, 인권, 기본권을 보장하고 모두의 복지 증진으로 행복한 국가를 만들기 위해 활발한 의정활동을 하고 있다'는 소개와는 배치된다.

진보 진영에서도 "뭘 하고 싶어서 장관이 되려 하는가"(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라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성평등가족부 초대 장관 타이틀은 정치인 강선우에게 명예로운 이력이 될 것이다. 그러나 부처의 역할이 정립되지 않는다면 여가부 이름이 바뀌고 조직이 확대 개편된들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강 후보자의 청문회를 반추하는 지금, 그의 도덕성과 자질이 성평등가족부 출범에 득이 되는지, 실이 되는지 냉정하게 평가해 볼 대목이다. 이 평가는 누구보다 후보자 자신의 몫이다.

smith@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