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 전체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변하며 굳은 표정을 보이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권 대표는 “비동의 강간죄는 21대 대선 기간 여성들이 가장 간절히 요구했던 정책 중 하나”라며 “지난 대선에서 비동의 강간죄를 공약한 후보를 만나 ‘죽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는 성폭력 피해생존자의 말이 강 후보자에겐 들리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이어 “딥페이크 성범죄 등 학교 현장에서 지금도 확인되고 있는 왜곡된 성인식과 차별받는 소수자들의 고통이 강 후보자에겐 보이지 않는가”라고 덧붙였다.
권 대표는 “윤석열이 여성을 적으로 돌린 첫 번째 상징적인 장면은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일곱 글자였다”며 “광장 여성 시민들은 이재명 정부에게 3년간 사실상 멈춰 있었던 여성가족부를 조속히 정상화하고 개혁 과제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사회적 합의’ 운운한 정치인 중 그 합의를 앞장서 만들어 온 정치인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그것이 결국 ‘하지 않겠다’는 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시민들은 모르지 않는다”며 “비동의 강간죄와 차별금지법은 이미 해외 사례가 충분히 존재하며 국제적 합의가 이뤄진 사안들”이라고 덧붙였다.
권 대표는 “민주노동당은 강 후보자에 대해 갑질 논란과 거짓 해명 등을 이유로 이미 내정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며 “이번 입장들로 강 후보자의 부적합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여성 의제를 나중으로 미루는 여성가족부 장관을 용납할 수 없다.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