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선' 국민의힘 다음 수장은…金·韓·羅·安에 장동혁 '물망'

정치

뉴스1,

2025년 7월 12일, 오후 02:51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에 참석한 대선 경선 후보들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홍준표 전 대구시장,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뒷줄 왼쪽부터 양향자 전 의원, 안철수 의원, 나경원 의원, 한동훈 전 대표. 2025.4.17/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국민의힘 새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가 8월로 가닥이 잡히며 대진표 윤곽이 드러나고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6·3 대선 경선의 리턴매치가 될 공산이 크다. 안철수 의원이 출사표를 낸 가운데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대표, 나경원 의원이 물망에 오른다. 장동혁·윤상현 의원 등도 거론된다.

차기 국민의힘 대표는 외부로는 3대 특검법에 방어하면서 내부로는 강도 높은 혁신을 통해 10%대로 떨어진 당 지지율을 올려야 하는 막중한 과제를 떠안게 된다.

12일 야권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8월 전당대회를 열고 차기 당대표를 선출한다. 장소 문제로 당초 중순 개최가 검토되다 월말로 미뤄진 것으로 전해졌다.

8월 전당대회 '리턴매치' 되나…새 얼굴 장동혁·조경태도 '출사표'
이번 전당대회에는 앞서 대선 후보 경선에 출마한 후보들이 상당수 나설 전망이다.

김 전 장관은 출마 선언은 하지 않았지만 당권 도전 가능성을 시사해 왔다. 지난 4일 '서울희망포럼'에선 상향식 공천제 필요성을 언급하며 "잘못된 부분에 종을 울리겠다"고 했다.

지난 대선에서 41% 지지율을 기록한 만큼 지지세가 빠지기 전 당권에 도전하려는 것으로 풀이됐다.

한 전 대표는 라이브 방송을 통해 대중과의 접점을 넓히면서 페이스북을 통해 현안에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 전 대표도 출마 여부를 정하진 못했다. 출마를 권하는 의견과 만류하는 의견이 뒤섞여 나오고 있다고 한다.

안 의원은 최근 당 혁신위원장직에서 내려오며 "전당대회에 출마하겠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와 함께 탄핵 찬성파로 묶인 안 의원은 구주류인 친윤(親윤석열)계의 인적 청산을 화두로 띄웠다.

나 의원도 후보군이다. 그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에 반대하며 6박 7일간 국회에서 농성했고, 각종 현안에 페이스북, 기자회견을 통해 의견을 내고 있다.

새로운 얼굴도 있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뒤 친한계와 결별한 장 의원이 출마로 뜻이 기운 것으로 전해졌다. 판사 출신 재선인 장 의원은 '한동훈 지도부' 일원이었으나 최근 당 주류 사이에서 그의 대항마로 부상 중이다.

다만 장 의원이 확장성을 얻으려면 탄핵 반대파 이미지를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당내 최다선인 조경태 의원도 출마가 확실시된다. 친한계인 조 의원도 주류에 대한 인적 청산을 강조하고 있다.

특검 대응하며 당 혁신…고차방정식 해법 찾아야
차기 국민의힘 대표의 지상 과제로는 3대 특검에 대한 대응과 당 혁신이 꼽힌다.

최근 특검이 김선교 의원 출국금지에 이어 윤상현·임종득 의원 압수수색을 단행하며 의원들 사이에선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동시에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을 보여줘야 한다. 국민의힘은 대선 패배 뒤 지지부진한 당 쇄신 등으로 지지율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7~9일 성인 남녀 1003명을 대상으로 한 전국지표조사(NBS)에 따르면 국민의힘 정당 지지도는 19%로 하락했다.

주자마다 입장이 달라 두 과제를 풀기 위한 치열한 수싸움이 예상된다. 탄핵 찬성파는 당의 '재조산하'를 외치는 동시에 특검법에 대한 입장을 내놔야 하고, 반대파는 특검에 대응하면서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혁신안을 내놔야 한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국민의힘이 특검을 방어하기 위해선 지지율 회복이 급선무"라며 "인적 쇄신 등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8.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hyuk@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