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7월 실질임금 0.5%↑…7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해외

이데일리,

2025년 9월 05일, 오전 10:20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일본의 7월 실질임금이 전년대비 0.5% 오르며 7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대형 보너스와 기업의 임금인상 효과가 맞물리며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하지만 체감 구매력과의 괴리는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사진=AFP)


5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후생노동성은 이날 발표한 ‘7월 매월근로통계조사’(속보치·종업원 5인 이상)에서 7월 실질임금(물가변동 영향 제외)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0.5%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대규모 여름 보너스와 기업 임금인상 확산에 힘입어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3.6%)을 상회한 결과다. 실질임금이 플러스로 전환한 것은 지난해 12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명목임금을 나타내는 1인당 현금급여 총액은 41만 9668엔(약 394만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1% 늘었다. 이 가운데 약 60%는 보너스 등 특별급여 증가가 견인했다.

특별급여는 12만 8618엔(약 121만원)으로 7.9%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기본급 및 정기수당을 합친 급여는 27만 827엔(약 255만원)으로 2.5% 늘었다. 2년 연속 5%대 임금인상 효과가 반영된 결과다.

기본급과 시간외수당 등을 더한 ‘정기지급액’은 2.6% 증가한 29만 1050엔(약 274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30년 7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것이다. 전체 실노동시간(141.6시간)은 0.1% 늘었다. 정규직이 168.9시간으로 0.4% 증가한 반면, 파트타임은 80.8시간으로 0.9% 감소했다.

실질임금 계산에 쓰는 7월 소비자 물가지수(집세 환산분을 제외한 종합)의 상승률은 3.6%을 기록했다. 전달(3.8%)보다 상승폭은 둔화했지만, 여전히 고물가 기조가 지속돼 임금 및 실질 구매력을 압박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품목별로는 쌀이 전년 동월대비 90.7% 급등해 거의 2배 가까이 뛰었다. 닭고기(9.3%), 초콜릿(51.0%) 등 주요 식품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한편 후생노동성은 지난 3월부터 실질임금 산정에 새로운 소비자물가지수 방식을 도입했는데, 이에 따른 7월 실질임금 상승률은 1.0%로 기존 방식(0.5%)보다 높은 상승폭을 나타났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