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일본 정부는 협상 타결 직후까지만 해도 “문서화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투자와 관련해 양측 설명이 엇갈리자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여 방향을 선회했다. 실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7월 22일(현지시간) “일본이 5천500억 달러를 투자하고 이익의 90%를 미국이 가져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정부계 금융기관이 최대 규모의 출자·융자·보증을 제공하는 합의”라며 정반대 설명을 내놓았다.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 역시 “출자는 1~2%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융자나 보증 형태”라고 부연했다.
한편 아카자와 경제재생상은 이날 미국으로 출국했다. 그는 출발 전 기자들에게 “실무 논의는 이미 정리됐으며 각료급 협의를 위해 미국을 방문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호 관세 조정과 자동차 관세 인하 등에 대한 미국 대통령 행정명령이 조속히 발표돼야 한다”며 “7월 합의가 성실히 이행돼야 경제 안전보장과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