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실상 기준금리 동결, 지준율 인하 먼저 시행 관측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21일, 오전 11:16

[베이징=이데일리 이명철 특파원] 중국이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일단 동결하며 신중한 모습을 유지했다. 하반기 경제 회복을 위해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예고했으나 일단 지급준비율(RRR) 인하 등으로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한 후 지켜보려는 의도로 보인다.



중국 인민은행은 1년 만기와 5년 만기 LPR을 각각 3.0%, 3.5%로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월과 같은 수준으로 시장 예상치에 부합한다.

인민은행은 올해 5월 LPR 1년물과 5년물을 각각 10bp(1bp=0.01%포인트) 인하한 후 동결 기조를 유지했다.

매월 20개 주요 상업은행의 금리를 취합해 산출하는 LPR는 5년물이 보통 주택담보대출, 1년물이 신용대출 등 일반대출 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사실상 기준금리로 취급된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말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올해 정책 기조를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설정한 바 있다. 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중 유동성을 늘리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것이다.

판궁성 인민은행 총재는 지난 5월 7일 기자회견에서 “지준율을 0.5%포인트 인하해 시장에 장기 유동성을 약 1조위안(약 194조원) 제공하고 정책금리를 0.1%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후 정책금리인 7일물 역환매조건부채권(역레포) 금리가 현행 1.5%에서 1.4%로 낮아졌고 이에 따라 5월 LPR이 10bp씩 인하됐다. 하지만 6월과 7월에는 추가 인하를 단행하지 않으며 숨을 고르는 모습이다.

다만 현재 중국의 경제가 정책이 쉬어갈 만큼 안정적인 상황은 아니다. 올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동기대비 5.3% 성장해 연간 목표치(약 5%)를 웃돌았으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0.1% 하락하는 등 디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하락) 우려가 커졌다.

미국과 관세 전쟁, 부동산 침체 등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큰 만큼 금리 인하 같은 유동성 공급 대책을 통해 수요를 살려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달러·위안화 환율은 7.1위안대 수준으로 7.3위안 안팎이던 연초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미국 달러화대비 위안화 가치가 상승했다는 의미다. 이에 급격한 금리 인하로 위안화 가치를 떨어트리기보단 먼저 다른 방안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저우란 인민은행 부총재는 이달 14일 ‘상반기 통화·신용 정책과 재정 통계’ 기자회견에서 하반기 경제 회복을 위해 완화정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하겠다면서 “RRR 같은 통화정책 도구를 활용해 유동성을 유지하고 정책금리 인하, 개인주택공적기금 대출금리 인하, 금리 위반 시정·표준화, 금리 자율 관리 강화 등에 주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발언을 보면 우선 지준율을 통해 유동성을 늘리고 정책금리와 대출금리 인하 등의 방안을 추가로 검토 중인 것으로 풀이된다.

저우 부총재는 환율과 관련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를 재개할 것이라고 예측한 만큼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여부도 LPR 정책 결정과 연관될 전망이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