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EU 집행위원회 마로시 세프코비치 통상 분과위원장(슬로바키아)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30% 혹은 그 이상의 관세 부과는 엄청난 충격을 가하는 것”이라며 “현재 하루 44억 유로(한화 7조 1000억원) 규모의 대서양 교역을 완전히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현재 EU 통상장관 회동을 위해 브뤠셀을 방문 중이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사진=AFP)
미국과 EU, 양측은 4주 간 통상 협상을 하고 있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갑자기 12일 ‘진전이 없으면 8월 1일부터 EU 수입품에 30% 관세를 부과한다’고 통보했다는 게 세프코비치 위원장의 설명이다.
EU 협상팀은 관세 10% 부과를 불만족하지만 용인하는 선에서 합의가 진행 중이었던 것으로 판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갑작스러운 관세 30% 부과에 EU는 통상 협상을 다시 짜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날 EU 통상장관들은 720억 유로 상당의 미국 수입품에 대한 보복관세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EU 27개국은 대미 상품 수출액이 합산해 작년 6060억달러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수입액도 3700억달러에 달해 미국의 대 EU 상품 교역적자가 2360억 달러로 중국의 2950억 달러보다 적다.
다만 EU 통상장관들은 미국과의 전면전은 피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진다.
라르스 뢰케 라스무센 덴마크 외무장관은 기자들을 만나 “우리는 미국과 어떤 종류의 무역전쟁도 원하지 않는다”며 “아직 8월 1일까지 협상할 시간이 있다. 모든 회원국이 공정한 합의 도출을 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덴마크는 하반기 EU 의장국이기도 하다.
앞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14일 0시를 기점으로 자동 발표 예정이었던 1차 보복 관세 조치 시행을 8월초까지 추가 연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직 논의 단계인 2차 보복 조치 규모도 당초 1000억 유로에서 720억 유로로 축소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