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나마시티 외곽 파나마 운하. (사진=AFP)
14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미군은 이날 파나마 경찰 및 항공해군청(SENAN)과 파나마운하 방어를 위한 합동 군사훈련을 시작했다. 이번 훈련에는 미 육군의 UH-60 블랙호크 헬기 2대와 CH-47 치누크 헬기 1대가 참여했으며, 이들 헬기가 파나마-퍼시픽 공항(옛 하워드 미군기지)에 도착하며 훈련이 본격 개시했다.
파나마 SENAN의 마이클 팔라시오스 부청장은 “이번 훈련은 파나마와 인근 국가들이 운하 안보 위협에 대응할 역량을 키우는 데 목적이 있다”고 밝혔다.
미군은 지난달에도 파나마에서 유사한 훈련을 실시한 바 있다. 이는 미-파나마 양자 협정에 따라 미군이 파나마 공군·해군기지를 훈련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 따른 것이다. 다만 이 협정은 파나마 내에서 주권 침해 논란을 불러일으키며 시민단체와 노동계의 항의 시위를 촉발했다. 파나마는 1999년 미국에서 운하 주권을 완전히 이양받은 이후, 미군의 재주둔 가능성에 극도로 민감한 입장을 보여왔다. 이에 협정에서도 미군 기지 상설화는 금지됐다.
이번 군사훈련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이 파나마운하에 지나치게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며 미국의 운하 ‘재탈환’ 가능성까지 언급한 이후 이뤄져 더욱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운하의 40%가 미국 컨테이너 물동량이고, 세계 교역의 5%가 운하를 통과한다”며 “미국이 없었다면 운하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지난 4월 미국 상선·군함의 자유 통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운하 통행료와 운영은 파나마운하청(ACP)이 독립적으로 관리한다”며 “중국의 통제설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실제로 파나마운하 운영권은 파나마 정부 산하 자치기구가 보유하고 있다. 중국 국영기업은 대서양 항만 일부 운영권만 갖고 있다.
팔라시오스 부청장은 “미국과의 합동훈련은 23년째 이어지고 있으며, 이번 훈련도 파나마의 주권을 존중하는 범위 내에서 진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지 미 대사관도 “모든 미군 파견은 파나마 정부의 사전 승인을 거치며, 영구 주둔은 없다”고 확인했따.
그럼에도 파나마 내부적으론 미군의 군사훈련 확대가 “주권 침해”라는 반발 목소리가 여전하며, “운하 안전 보장”이라는 찬성 의견도 적지 않아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