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백악관 국빈 만찬장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들과의 다자 오찬 도중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날 가봉,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정상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오찬에 참석했다.(사진=게티이미지)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에 고율 관세를 예고했지만, 세부 사항은 아지 공개하지 않았다. 소식통에 따르면 전선과 선재, 관, 시트 등 구리 반제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드 대통령은 지난 8일 내각 회의에서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데 이어 다음날인 9일 구리 관세가 다음 달 1일부터 적용한다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밝혔다.
그는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방어체계, 그리고 심지어 우리가 많이 만들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필요하다”며 “구리는 국방부가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쓰는 소재다”라고 적었다.
이어 “도대체 왜 우리의 어리석은 (그리고 졸린) 지도자들은 이 중요한 산업을 죽인 것인가? 이 50% 관세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생각 없는 행동과 우둔함을 뒤집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리는 가전제품·자동차·건설·군사 장비 등 다방면에 사용되는 필수 소재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 산업 전반의 원가 상승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은 지난해 정제 구리만 90만8000톤(t)을 수입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봉, 케이블, 합금 제조사에서 소비했다. 여기에 구리 반제품도 약 80만t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내 생산만으로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는 것을 방증한다.
시장에선 구리 관세가 주요 업체와 공급망에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국 내 최대 구리 가공업체 중 하나인 사우스와이어는 구리 관세 부과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 회사는 미군 기지와 해군 함정용 전선을 공급하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수급 차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구리개발협회는 지난 3월 미 상무부에 제출한 자료에서 구리 반제품이 군수산업 공급망의 핵심 연결 고리라고 강조했다. 구리개발협회는 미국 반제품 생산업체의 90%를 대표해 미 정부에 의견을 제출했다.
미국 컨설팅 업체 MM마켓의 공동 창립자 크리스티나 칼만은 “(미국이) 보안상의 이유로 반제품에도 50%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국 내 생산업체의 현재 능력으로는 80만t의 반제품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고, 신규 설비를 갖추려면 최대 7년이 소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구리 가격은 아시아 시장에서 장 초반 최대 1.3% 상승했다. 구리 관세가 중간 소재까지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구리 가격을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