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구리 50% 관세, 전력망·데이터센터용 반제품에도 적용"

해외

이데일리,

2025년 7월 11일, 오후 05:06

[이데일리 양지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1일(현지시간)부터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50% 구리 수입 관세 대상에 전력망과 군사, 데이터센터용 구리 반제품도 포함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백악관 국빈 만찬장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들과의 다자 오찬 도중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이날 가봉,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모리타니, 세네갈 정상들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오찬에 참석했다.(사진=게티이미지)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구리 반제품도 50%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에 고율 관세를 예고했지만, 세부 사항은 아지 공개하지 않았다. 소식통에 따르면 전선과 선재, 관, 시트 등 구리 반제품도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드 대통령은 지난 8일 내각 회의에서 구리에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예고한 데 이어 다음날인 9일 구리 관세가 다음 달 1일부터 적용한다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서 밝혔다.

그는 “구리는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미사일방어체계, 그리고 심지어 우리가 많이 만들고 있는 극초음속 무기에 필요하다”며 “구리는 국방부가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쓰는 소재다”라고 적었다.

이어 “도대체 왜 우리의 어리석은 (그리고 졸린) 지도자들은 이 중요한 산업을 죽인 것인가? 이 50% 관세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생각 없는 행동과 우둔함을 뒤집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구리는 가전제품·자동차·건설·군사 장비 등 다방면에 사용되는 필수 소재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 산업 전반의 원가 상승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미국은 지난해 정제 구리만 90만8000톤(t)을 수입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봉, 케이블, 합금 제조사에서 소비했다. 여기에 구리 반제품도 약 80만t 수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 내 생산만으로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다는 것을 방증한다.

시장에선 구리 관세가 주요 업체와 공급망에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미국 내 최대 구리 가공업체 중 하나인 사우스와이어는 구리 관세 부과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 회사는 미군 기지와 해군 함정용 전선을 공급하고 있으며, 관세로 인한 수급 차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구리개발협회는 지난 3월 미 상무부에 제출한 자료에서 구리 반제품이 군수산업 공급망의 핵심 연결 고리라고 강조했다. 구리개발협회는 미국 반제품 생산업체의 90%를 대표해 미 정부에 의견을 제출했다.

미국 컨설팅 업체 MM마켓의 공동 창립자 크리스티나 칼만은 “(미국이) 보안상의 이유로 반제품에도 50% 관세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미국 내 생산업체의 현재 능력으로는 80만t의 반제품 추가 생산이 불가능하고, 신규 설비를 갖추려면 최대 7년이 소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이날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COMEX)에서 거래되는 구리 가격은 아시아 시장에서 장 초반 최대 1.3% 상승했다. 구리 관세가 중간 소재까지 확대 적용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구리 가격을 끌어올렸다.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