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육군 소장). 2025.7.30/뉴스1 © News1 김명섭 기자
순직해병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은 국방부조사본부에서 해병대원 순직사건 수사기록을 재검토하는 과정에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육군 소장)이 깊숙이 개입한 정황을 확인했다. 박 전 보좌관은 조사본부 고위 관계자에게 직접 전화해 수정할 문구를 불러주고,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요구라는 점도 전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5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 전 보좌관은 2023년 8월 조사본부 고위 간부 김 모 대령에게 전화해 "본문 수정할 것을 제가 불러 드리겠다"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4명은 현재 수사만으로는 혐의를 인정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고 작성해달라"고 요구했다.
김 대령은 박 전 보좌관에게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수정해 준 내용이냐고 물었고 박 전 보좌관은 이에 긍정했다고 한다.
이 통화는 조사본부 소속 인력 15명으로 구성한 태스크포스(TF)팀이 2023년 8월 14일 임 전 사단장 등 6명을 해병대원 순직사건의 업무상과실치사 혐의자로 특정한 보고서를 작성한 이후 시점에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조사본부는 최진규 전 포11대대장(중령)과 이용민 전 포7대대장(중령)을 혐의자로 특정하고 임 전 사단장 등은 혐의자에서 제외한 최종 보고서를 작성해 이 전 장관의 결제를 받고 8월 21일 재검토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본부가 재검토결과를 발표하기까지 박 전 보좌관은 김 대령에게 수십차례 전화와 문자를 나눈 것으로 파악됐다.
박 전 보좌관은 김 대령에게 전화로 특정 인물을 언급하며 '억울해한다. 잘 살펴보라' '위에서 원하는 대로 해주면 안 되냐'는 등의 말도 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 박 전 보좌관은 개인 의견일 뿐, 상부의 지시에 따른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하지만 그간 혐의자 축소를 요구하는 발언에 더해 이 전 장관의 재검토 결과 수정 지시를 전달하는 진술까지 드러나면서 박 전 보좌관이 기존의 입장을 뒤집을지 이목이 쏠린다.
특검팀은 지난 3일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에서 참고인 신분이던 박 전 보좌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모해위증 혐의 피의자로 입건했다. 또 육군 제56사단장에 재직 중인 박 전 보좌관이 특검 수사를 방해하거나 지장을 줄 수 있다고 보고 국방부에 직무배제를 요청했다.
이에 군은 이날부로 박 전 보좌관을 직무배제 및 분리 파견 조치했다.
goldenseagull@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