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왼쪽)이 19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대강당에서 열린 전공의협의회 임시대의원 총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대위는 전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3대 대정부 요구안을 의결한 바 있다.
요구안에는 △필수의료 개혁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의료현장전문가 중심 협의기구 설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기구 설치 등이 담겼다.
이에 대해 연합회는 “이는 기존의 7대 요구안보다 범위와 강도 면에서 오히려 확대된 내용”이라며 “요구 조건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형식만 바꾼 재요구이자 조건의 재생산”이라고 했다.
또한 “전공의들이 제시한 7대 요구사항 중 대부분이 이미 해결했음을 인정하면서도 추가 조건을 붙였다”며 “선복귀가 아닌, 선 협상 후 복귀를 전제로 해 복귀의 진정성과 책임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연합회는 “전공의 단체는 정부와 사회가 의료 정상화를 위해 다수의 요구를 수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복귀를 계속 미루며 국민과 환자를 협상 지렛대로 삼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진정성 있는 사과도, 책임 있는 복귀 일정도 없이 오직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태도는 납득될 수 없다”면서 “환자와 국민은 도대체 무엇 때문에 이렇게 생명과 고통의 위협을 받아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연합회는 오는 21일 더불어민주당과의 간담회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국회 차원의 명확한 입장을 요구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