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 2024.6.21/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의 구명 로비 의혹에 대해 "비상식적 소설"이라고 일축하며 "전혀 알지 못하는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장관 측은 19일 언론에 전한 입장문을 통해 "당시 대통령의 격노로 느낄 만한 질책이나 지시를 접한 기억이 없다. 아울러 임 사단장을 피혐의자에서 빼라거나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대통령으로부터 받은 사실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전 장관 측은 또 "(윤 전 대통령이) 누군가로부터 구명 로비를 받았고 그것이 떳떳하지 못한 것이라면 여러 사람이 있는 회의 자리에서 그렇게 공개적으로 역정을 내며 말씀하시는 않았을 것"이라며 "아마도 국방부 장관에게 다른 사람들 모르게 조용히 그리고 은밀하게 지시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여러 사람이 있는 회의 자리에서 대통령이 역정을 냈다는 사실은 오히려 구명 로비가 없었음을 반증하는 정황 증거"라며 또 "대통령에게 구명 로비가 이뤄졌다면 임 사단장은 자신이 곧 구명될 것으로 기대했을 텐데 정작 왜 당시 해병대사령관에게 전역 희망 의사를 밝혔을까?"라고 반문했다.
이 전 장관 측은 임 전 사단장이 결국 피의자 신분으로 경북경찰청 수사를 받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대통령에게 구명 로비를 했는데 결과적으로 구명은 실패했다? 구명 결과가 없음은 구명 로비가 없었음을 반증하는 유력한 정황"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이 전 장관 측은 지난 16일에도 윤 전 대통령의 '격노설'에 대해 "당연한 지적이나 우려였고 행정부 내부의 의사소통 과정이었다"면서 "잘못된 것을 잘못됐다고 지적하는데 그것을 격노라는 프레임으로 폄훼하는 건 본말이 전도된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고(故) 채수근 상병 사망사건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검팀(이명현 특별검사)은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가 윤 전 대통령이나 대통령실 주변 인물로 연결된 정황을 포착하고 관련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특검은 'VIP 격노설'을 시인하는 다수 진술을 확보하고 채 상병 사망사건 수사에 대한 외압 의혹 규명에 주력하고 있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 주재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해병대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며 '격노'했다는 내용이다.
hy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