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들으며 고개 숙이고 있다. 2025.7.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마무리됐지만, 학계에서도 계속 문제를 제기하는 논문 표절 의혹과 미흡한 교육 정책·현안 숙지 등 자질 논란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친정부 성향인 진보 교육계도 거세게 반대하는 데다 청문회 무대에서의 서툰 대응을 지켜본 여당에서도 고심이 깊어지는 만큼 교육수장 자리에 오르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17일 교육계와 정치권 등에 따르면, 국회 교육위원회는 전날 이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제자 논문 표절·가로채기 의혹을 해명하는데 집중했다.
그는 "언론에서 보도되는 것들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부분의 연구가 학생이 학위 논문을 쓰기 전 제가 국가 연구 프로젝트를 수주해서 연구 책임자로 수행한 연구"라며 "제가 제1저자가 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논문 연구 초반부는 기획이나 모든 진행을 제가 주도했기 때문에 제자에게 제1저자를 주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했었다"며 "제1저자든 교신저자든 혜택에 어떤 차이도 없지만 교육의 차원, 공정의 차원에서 그렇게(1저자로 나를 등재)했었다"고 했다.
'교수가 제1저자라면 제자가 발표했던 학위논문은 취소가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충남대에서는 이공계의 경우 교수와 학생이 공동으로 논문을 발표해야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며 "제자와 교수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것은 필수"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민전 국민의힘 의원은 "이공계 논문의 경우 교수와 제자가 공동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데, 이 후보자는 연구를 직접하고 연구노트를 직접 쓰지 않고도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이 문제"라며 "본인이 1저자로 올라간 것은 지나친 욕심"이라고 지적했다.
김건희 여사의 논문을 검증해 표절로 결론 내렸던 '범학계 국민검증단'도 "학생의 학위 논문을 활용해 출처를 밝히지 않고, 학회지 논문의 제1저자로 올린 행위는 교육자로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여당에서도 논문 의혹 해명에 의문을 제기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여당의 위원인 저로서도 명확하게 납득되지 않는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다"고 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7.16/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교육 정책과 현안에 대한 이해도 부족도 드러냈다. 이 후보자는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가 며칠인지 아시나'라는 질문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다. 초·중·고등학교 법정수업일수는 190일이다.
전국 1만여 학교에서 교육행정정보를 연계해서 처리하는 시스템에 대한 물음에는 답하지 못하다가 한 박자 늦게 "나이스(NEIS)입니다, 나이스입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유보통합 추진 주체는 어디냐'는 질문에는 "교육청에서 하고 있다"고 했다. 유보통합은 교육부가 주관한다.
이 후보자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에 대해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도 여당에서 비판이 나왔다. 고 의원은 "지난 1년간 교육계에서 엄청난 공방이 있던 분야인데, 질문을 툭 던지면 후보자의 교육적 철학이 술술술 나와야 한다"며 "굉장히 실망스럽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정책 이해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제가 부족한 점이 많다"고 시인했다.
청문회 종료 후 공은 이재명 대통령과 여당에 넘어갔다. 이 대통령은 정무수석실에 설치된 인사청문 태스크포스(TF)를 통해 이 후보자에 대한 여론 동향을 보고받고 있다. 민주당은 이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를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낙마 가능성도 조심스레 점치고 있다. 교육계 관계자는 "청문회 과정에서 논문 의혹 등에 여당 의원들도 납득하기 어려운 해명을 한 점, 친여 성향의 진보 교육계와 시민단체(참여단체)도 이 후보자에 등을 돌린 점,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이 '솔직히 장관 후보자 자리에 덜컥 온 거 아니냐'고 물었을 때 맞다고 답한 점 등을 보면 교육수장으로서 자질이나 철학을 가지고 있는 인물로 보기는 어렵지 않겠나"라고 관측했다.
kjh7@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