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영천호국원에서 재안장을 위해 수습된 국가 유공자의 유골함 모습. 습기를 막기 위해 쌓아놓은 비닐 안에 물이 고여 있다. (사진=국가보훈부노조 제공)
영천호국원에서는 지난해 말 유족의 요청으로 유골을 재안장하는 과정에서 유골함 내에 물이 가득 고인 것이 발견됐다.
장시간 물에 담긴 채 방치됐던 유골은 심각하게 부패했을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노조에 따르면 호국원 측은 유골함에 고인 물만 빼내고 일명 ‘오븐’이라고 부르는 실험용 건조 장비를 통해 유골을 말린 뒤 이를 유족들에게 돌려줬다.
문제는 호국원 측이 이 사실을 쉬쉬한 채 수습하려 했던 점이다. 이날 한국일보는 호국원 소식에 밝은 관계자 말을 빌어 “의전단 직원이 유족들에게 알리고 대책을 세우자고 상부에 보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한다”고 전했다.
보훈부노조 또한 ‘침수 사실을 은폐하지 말고 대책을 만들어 달라’고 보훈부에 요청했으나 답을 듣지 못했다고 밝혔다.
특히 수장된 유골을 재화장하는 절차도 거치지 않고 실험실용 건조기를 통해 말려 내보낸 것도 국가유공자를 대하는 예우에 맞지 않는다는 비난 여론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지난 2020년 광주광역시의 경우 폭우로 관내 추모관의 유골이 침수되자 재화장 뒤 안치하는 절차를 진행했다.
국립묘지의 유골함 관리에서 문제가 생긴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21년에도 대전현충원 장병 제1묘역에 안장된 6·25 참전 국가유공자 고(故) 이모 병장 유골함에서 비슷한 일이 있었다. 당시 유족들은 합장식을 위해 20년 만에 묘를 개장했는데 유골함에 물이 차 있었고 유골함 주변 땅에도 물이 흥건하게 고여 있었다.
앞서 지난 2020년 광주광역시의 경우 폭우로 관내 추모관의 유골이 침수되자 재화장 뒤 안치하는 절차를 진행했다.
한편 유골함을 매장하는 방식이 땅속 습기 등으로 구조적으로 물이 찰 수밖에 없는 구조라 이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021년 국정감사 보도자료를 통해 유골함을 매장할 경우 내부에 습기가 고여 물이 차게 된다며 “현재 국립묘지 안장 방식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독립·국가유공자들의 유해 상태 점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