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검증단 "이진숙 후보 논문 표절 심각, 자진사퇴 해야"(종합)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4일, 오후 05:06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김건희 여사의 논문 검증을 주도했던 교수단체가 이진숙 교육부 장관의 후보자가 작성한 논문 13편이 표절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김건희 여사의 논문표절과 비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 후보자의 신속한 사퇴를 촉구했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된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논문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검증단)은 14일 오후 서울 용산구 KDB생명타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후보자는 교육계의 양심 회복과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자진해서 사퇴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검증단이 지난 4일부터 이 후보자의 논문 150여편을 검증한 결과, 문제가 된 논문은 총 16편이었다.

그중 표절률 20%를 넘긴 논문은 81%에 해당하는 13편이었다. 학계에서는 통상 표절률이 20%를 넘으면 다른 논문을 베낀 것으로 간주한다.

가장 높은 표절률을 기록한 논문은 56%를 기록한 '건축실내공간을 구성하는 문양의 조형요소에 대한 영향 평가'였다. '공동주택 야간경관조명 사례조사를 통한 조명디자인 감성평가'는 표절률 52%로 조사됐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도 제기했다. 검증단에 따르면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제1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은 총 8건으로 집계됐다.

또 제자의 학위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이 후보자가 교신저자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은 2건이었다. 후보자가 제1저자로 참여한 학술지 논문이 제자의 학위논문보다 먼저 게재된 경우는 4건이었다.

이외에 이 후보자가 제1저자로 참여하고 연구비 지원을 받았으나, 생명윤리위원회(IRB) 승인 여부를 표기하지 않은 논문은 총 5건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후보자가 제1저자로 참여하고, 중복 게재한 경우는 2건으로 조사됐다.

검증단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이 후보는 자신이 가르쳤던 학생들의 학위 논문에서 (자신을) 1저자로 하고, 제자들을 사지로 내몰았다"며 "기이한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논문 표절 행위는 김건희 논문에서도 본 바가 없다"고 거세게 비판했다.

이진숙 교육부장관 후보자 논문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 /뉴스1 © News1 장성희 기자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준비단은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충남대 총장 임용 시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검증위원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연구 부정 행위 없음'으로 이미 판정 완료됐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준비단은 이어 "(검증단이 문제를 제기한) 논문 16편 중 9편은 이미 판정 완료됐다"며 "부당한 저자표시 및 중복게재에 관한 의혹은 대한건축학회와 한국색채학회 입장문으로도 충분히 소명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논문이 단순 표절률의 문제가 아니라, 학생의 아이디어를 베낀 것이라며 사태의 심각성을 재차 강조했다.

검증단은 "학위 논문은 학생의 아이디어가 가장 중요한데, (이 후보자는) 학생의 아이디어를 가져간 것"이라며 "글의 흐름이나 연구 방법, 연구 결과가 거의 같아 내용 표절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학위논문에서 지도교수가 실질적 저자가 된다면 그 논문은 학위를 받은 학생이 쓰지 않은 꼴이 된다"며 "그런데도 이 후보자가 '실질적 저자가 본인'이므로 제1저자로 표기해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면 스스로 교육자이길 포기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건희 여사의 경우 표절로 인해 본인만 피해를 입으면 됐지만 (이 후보자는) 제자가 연관돼 더욱 조심스럽고 가슴 아픈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조속한 사퇴를 요구했다.

이들은 "이 후보의 과오를 묵인하면 대학 현장에서 보고서와 학위논문 심사에 이중 잣대를 들이대야 할 것"이라며 "교육부 수장의 논문표절 문제는 김건희 씨의 논문표절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그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학계 전반을 흔들고, 새로운 연구 부정 행위를 한 이 후보께서 자진해서 사퇴해 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grown@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