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은 14일 취임 2주년 인터뷰를 통해 “경기도 내 탄소 배출량을 줄이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21년 설립된 진흥원은 현재 김포 사우동에 사무실을 두고 있다. 경기도 출연기관으로 환경·에너지 사업을 담당한다.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이 14일 원장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진흥원 제공)
◇신재생에너지 발전 촉진
경기 RE100은 경기도가 도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23년 6.5%에서 2030년까지 30%로 확대하고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등) 배출량을 40% 감축하겠다고 제시한 비전이다. ‘RE100’(재생에너지 100%)은 국제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그룹이 시작한 캠페인으로 기업이 사용하는 모든 전력을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생산으로 전환하자는 것이다.
진흥원은 경기 RE100 목표 달성을 위해 공공용지 활용 햇빛발전소 확대, 산업단지 컨설팅,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등을 하고 있다. 공공용지 활용 부지 햇빛발전소 설치 컨설팅은 2023년 30건을 했고 지난해 66건을 진행했다. 진흥원의 햇빛 자전거길 설치(자전거도로 위 태양광발전기 설치) 사업은 올해 처음으로 시흥에서 도입한다.
김 원장은 “전 세계적으로 정부·기업 등이 RE100 정책을 추진한다”며 “우리는 경기도 정책에 발맞춰 RE100 사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석탄 발전(전기 생산)을 태양광, 수소 등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대체하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기업 수출에서 관세 부담을 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연합(EU) 국가들은 내년 1월부터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제품이 아니면 수입 관세를 추가한다. 김 원장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늘어나면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 있다”며 “경기도 기업, 공공기관 등이 RE100에 참여하도록 컨설팅사업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이 14일 원장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진흥원 제공)
진흥원이 올 1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 기후행동 기회소득 정책은 도민이 걷기, 대중교통 이용, 재활용품 배출, 태양광발전기 설치 등의 ‘기후행동’을 하면 보상 차원에서 1명당 연간 최대 6만원씩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것이다. 현재 도내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가입자는 135만명이고 올해 말까지 170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김 원장은 “기후행동 기회소득 정책은 도민의 탄소중립 실천을 유도하는 것”이라며 “도민의 참여는 환경·에너지 정책을 다양하게 만들고 도민의 행동 변화를 이끌 수 있다”고 말했다.
진흥원은 주택 태양광발전기 설치 지원, 취약계층 에어컨 설치·냉방비 지원, 환경 교육, 환경 관련 기업 육성 등도 하고 있다. 태양광발전기 지원은 단독주택 소유자 대상이고 설치비의 30~50%를 지급한다. 지난해 2647가구에 51억원을 지원했고 올해 4800가구(106억원) 지원이 목표이다. 에어컨 설치는 올해 900가구를 지원했다.
김 원장은 남은 임기 동안 순환경제이용센터와 기후테크센터 개소·운영에 집중할 계획이다. 순환경제이용센터는 내년 수원 장안구 파장동 옛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건물에서 개소할 예정이다. 이 센터는 업사이클(재활용 재료로 상품 생산) 업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기후테크센터는 내년 진흥원 김포 사무실에 설치할 방침이다. 기후테크센터는 환경산업(물 정화, 하수처리 등) 업체를 지원한다. 김 원장은 “경기도가 진흥원에 기후테크센터 등 2개 센터 운영을 위탁할 예정”이라며 “도내 환경 관련 기업들이 성장하도록 판로 개척, 전시, 기술 지원 등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