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격노 회의 참석' 김태효, 특검 조사 7시간여 만에 귀가

사회

뉴스1,

2025년 7월 11일, 오후 10:27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11일 오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고 있다. 해병대원 순직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은 김 전 차장을 상대로 이른바 'VIP 격노설'이 불거진 2023년 7월 31일 수석비서관회의 내용 등을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2025.7.11/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순직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진원지인 국가안보실 회의에 참석한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1일 이명현 특별검사팀의 소환조사에 출석해 7시간여 만에 귀가했다.

순직해병특검 3팀(팀장 천대원 부장검사)은 이날 오후 3시부터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김 전 차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김 전 차장은 조사 7시간여 만인 오후 10시 7분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순직해병특검 사무실을 나섰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지 않았다는 주장 그대로인가" "이첩 보류 지시는 윤 전 대통령과 무관한가" "회의 당시 윤 전 대통령의 격노는 정말 없었나"라는 취재진 질문에 침묵하며 "다음에 기회가 있을 때 말하겠다. 성실히 답했다"는 짧은 답만 남기고 귀가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김 전 차장이 조사 과정에서 진술거부권을 행사하지 않았고 준비한 조사 내용을 모두 마쳐 심야 조사는 진행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김 전 차장에 대한 추가 조사 여부는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윤석열 정권 외교·안보의 실세로 평가받는 김 전 차장은 'VIP 격노설'의 진원지인 국가안보실 회의에 참석한 인물 중 한 명이다.

'VIP 격노설'은 윤 전 대통령이 2023년 7월 31일 오전 11시쯤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을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적시한 해병대원 순직사건의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 받고 격노해 이 전 장관 등에게 전화를 걸어 수사에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앞서 김 전 차장은 지난해 7월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나와 "7월 31일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냐"는 질문에 "화를 내신 적은 없다"고 VIP 격노설을 일축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런 일로 사단장까지 처벌하게 되면 대한민국에서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느냐'는 취지로 말한 적 있냐는 질문에도 김 전 차장은 "아는 바가 없다"고 회피했다.

그는 "왜 '격노했다'는 보도에 항의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너무 어이가 없을 땐 대답을 안 한다"고 말했다.

한편 순직해병특검팀은 이날 오전 국방부와 윤 전 대통령의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자택,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자택,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전 국가안보실 2차장)의 자택과 의원회관 사무실 등 10여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사용한 휴대전화를, 전날 진행한 압수수색에선 이종섭 전 장관이 사용한 비화폰을 확보했다.

특검팀은 10~11일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하며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는 회의 상황, 국방부검찰단의 수사 기록 회수 과정에서의 의사 결정 과정 등 의혹 전반의 얼개를 재구성할 전망이다.

goldenseagull@news1.kr

이시간 주요 뉴스